til

    [TIL] Day 4

    오늘도 역시 생소한 부분의 강의를 들었다. 평소에 많이 사용하던 라이브러리들인데 어쩜 이렇게 새롭고,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는 게 그저 신기하다. 오늘 할 일 7시 전에 기상 디자인패턴 정리 오늘 강의 정리 강의 듣기 멘토님과 스터디 알고리즘 1문제 풀기(풀다가 실패했다ㅠ) TIL 1. Collection - 마찬가지로 평소에 엄청 쓰던 ArrayList, LinkedList... 들이 바로 컬렉션이다. - 컬렉션은 추상체로 여러 데이터의 묶음이다. - 변수처럼 하나의 값이 아닌 여러 개의 값을 List 형식 등에 담을 때 주로 사용한다. (정리 후 link 달기) 2. Iterator - 묶여있는 데이터에서 하나씩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다. - next() 함수로 다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

    [TIL] Day 3

    오늘부터는 하루 일과 시작 전에 할 일 정리도 할 겸 미리 작성해두고 시작하려고 한다. 추가로, 마지막으로 작성할 때 내일 해야하는 일을 리스트로 적으면 더 계획적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다. 오늘 강의는 정말.. 내가 모르는 부분만 콕콕 강의를 진행하셨다. 그래서 처음 강의가 분량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약 3시간..? 정도 반복해서 시청했다. 그만큼 새롭게 알게 된 정보가 많았는데 이걸 다 언제 정리할지 무섭다... 강의를 다 들으니 밤이다ㅠㅠ 시간관리에 실패한 하루..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일단 간단하게 요약을 해본다. TIL 1. 인터페이스 (1) 구현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속 시 구현을 강제한다. - 추상메소드로 이루어져 구현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verride로 재정의를 강제한다...

    [TIL] Day 2

    오늘은 어제보다 더 많이 그냥 무심히 지나쳤던 내용에 대해 다시 들을 수 있었던 기회였다. 여태 거의 자바만 사용해왔는데, 정작 객체지향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등등 잘 모르기 때문에 이참에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좋다. TIL 1. 객체지향 Java 언어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문구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문구다. 나는 단순히 클래스 별로 기능을 나눠 잘게 쪼개는 것이 객체지향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에 더해서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 많았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말 그대로 객체로 프로그래밍하고, 프로그램을 객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프로그램이 규모가 작아 그냥 진행하면 됐었지만, 점점 규모가 커지면서 해결책을 생각한 것이 '프로그램을 작게..

    [TIL] Day 1

    오늘(8월 2일)부터 그토록 고대하던 데브 코스를 시작했다. 교육과정 소개 중 눈길을 끌었던 것들이 많이 있었다. 그중 하나인 TIL을 오늘부터 작성해보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TIL은 꾸준함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다. 지금은 이렇게 밤늦게라도 작성하지만, 나중에 나는 나태해질 수 있으니 이 글을 보고 정신 차려 12월까지 쭈욱 진행해나갔으면 좋겠다. TIL이란? Today I Learned의 약자로 오늘 내가 공부하거나 배운 것을 기록하는 용도다. 강의를 들으면서 나에게 부족하고 추가로 공부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 부분을 중점으로 적겠습니다. TIL 1. Build Tool 현재 사용하는 Framework가 나오기 전까지 개발자분들은 직접 코드를 빌드하고 실행시켰다고 한다. 이것은 매우 불편하고 귀찮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