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644] 촌수계산 (자바)
알고리즘/백준

[백준 2644] 촌수계산 (자바)

반응형

백준 2644번 촌수계산 (자바)

 

 

 

출처

www.acmicpc.net/problem/2644

 

2644번: 촌수계산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

www.acmicpc.net

 

 

 

문제

우리 나라는 가족 혹은 친척들 사이의 관계를 촌수라는 단위로 표현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촌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를 1촌으로 정의하고 이로부터 사람들 간의 촌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나와 아버지,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각각 1촌으로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 되고, 아버지 형제들과 할아버지는 1촌, 나와 아버지 형제들과는 3촌이 된다.

여러 사람들에 대한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두 사람의 촌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에는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넷째 줄부터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두 번호 x,y가 각 줄에 나온다. 이때 앞에 나오는 번호 x는 뒤에 나오는 정수 y의 부모 번호를 나타낸다.

각 사람의 부모는 최대 한 명만 주어진다.

 

 

 

출력

입력에서 요구한 두 사람의 촌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 어떤 경우에는 두 사람의 친척 관계가 전혀 없어 촌수를 계산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때에는 -1을 출력해야 한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접근 방법

1. 시간복잡도를 위해 인접 리스트를 만든다.

2. dfs를 실행한다.

3. 탐색하는 노드별로 순서 값을 넣어주기 위해 동일한 배열을 하나 더 만든다.

4. 순서 값을 넣어주기 위해 dfs 재귀 실행 시 다음 탐색할 원소에 +1씩 해준다. 

 

 

※ 의문점

배열을 하나 더 만들어 탐색하는 노드마다 +1씩 해주는 방식은 통과가 되지만,개수를 세는 전역변수를 만들어 +1씩 해주는 방식은 통과가 안된다..이유가 무엇일까

 

 

 

맞은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 할아버지 - 2촌
		// 아버지 - 1촌 형제들 - 3촌
		// 나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사람 수
		int n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boolean[] visit = new boolean[n + 1];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n + 1];
		int[] result = new int[n+1];

		for (int i = 0; i <= n; i++) {
			list[i] = new ArrayList<Integer>();
		}

		// 촌수 계산 값 넣기
		String[] input = reader.readLine().split(" ");
		int start = Integer.parseInt(input[0]);
		int parent = Integer.parseInt(input[1]);

		// 부모 자식들 관계의 개수
		int m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for (int i = 0; i < m; i++) {
			String[] str = reader.readLine().split(" ");
			int num1 = Integer.parseInt(str[0]);
			int num2 = Integer.parseInt(str[1]);

			list[num1].add(num2);
			list[num2].add(num1);
		}

		dfs(start, parent, result, list, visit);
		
		for (int i=1; i<=n; i++) {
			result[i] = result[i] == 0 ? -1 : result[i];
		}
		System.out.println(result[parent]);
	}

	private static void dfs(int start, int y, int[] result, ArrayList<Integer>[] list, boolean[] visit) {

		if (start == y) {
            Arrays.fill(visit, true);
			return;
		}
		
		// 처음 방문 처리
		visit[start] = true;

		// 해당 리스트에서 방문한적 없으면 탐색
		for (int i : list[start]) {
			if (!visit[i]) {
				result[i] = result[start]+1;
				dfs(i, y, result, list, visit);
			}
		}
		
	}
}

 

 

 

틀린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Main {
	private static int temp = 0;
	private static int cnt =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 할아버지 - 2촌
		// 아버지 - 1촌 형제들 - 3촌
		// 나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사람 수
		int n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boolean[] visit = new boolean[n + 1];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n + 1];
		int[] result = new int[n+1];

		for (int i = 0; i <= n; i++) {
			list[i] = new ArrayList<Integer>();
		}

		// 촌수 계산 값 넣기
		String[] input = reader.readLine().split(" ");
		int start = Integer.parseInt(input[0]);
		int parent = Integer.parseInt(input[1]);

		// 부모 자식들 관계의 개수
		int m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for (int i = 0; i < m; i++) {
			String[] str = reader.readLine().split(" ");
			int num1 = Integer.parseInt(str[0]);
			int num2 = Integer.parseInt(str[1]);

			list[num1].add(num2);
			list[num2].add(num1);
		}

		dfs(start, parent, list, visit);
		
		cnt = cnt == 0 ? -1 : cnt;
		System.out.print(cnt);
	}

	private static void dfs(int start, int y, ArrayList<Integer>[] list, boolean[] visit) {

		if (start == y) {
			//시작노드랑 최종값이랑 같으면 끝
			cnt = temp;
			return;
		}
		
		// 처음 방문 처리
		visit[start] = true;

		// 해당 리스트에서 방문한적 없으면 탐색
		for (int i : list[start]) {
			if (!visit[i]) {
				temp++;
				dfs(i, y, list, visit);
				break;
			}
		}
	}
}

 

 

고려할 점

1. 인접리스트를 사용할 것

2. 방문처리를 통한 탐색

3. 개수 세는 방법 생각하기

 

 

 

반응형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178] 미로 탐색 (자바)  (0) 2020.10.23
[백준 7576] 토마토 (자바)  (0) 2020.10.23
[백준 10451] 순열 사이클 (자바)  (0) 2020.10.18
[백준 2529] 부등호 (자바)  (0) 2020.10.18
[백준 6603] 로또 (자바)  (0) 2020.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