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인덱스란 RDBMS에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어떤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있다는 정보를 가진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안의 레코드를 처음부터 풀스캔하지 않고, B+-Tree로 구성된 구조에서 Index 파일 검색으로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파일 구성 → 테이블 생성 시, 3가지 파일 생성 FRM : 테이블 구조 저장 파일 MYD : 실제 데이터 파일 MYI : Index 정보 파일 (Index 사용 시 생성) → 사용자가 쿼리를 통해 Index를 사용하는 칼럼을 검색하게 되면, 이때 MYI 파일의 내용을 활용한다.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WHERE 구문과 일치하는 열을 빨리 찾기 위해서. 열을 고려 대상에서 빨리 없애 버리기 위해서 조인 (join)을 실행할 때 다른 테이블에서 열을 추출하기 위해서. ..
[네트워크] OSI 7계층
OSI 7 계층 디지털 통신 제품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통신 도구 간의 명확한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7 계층을 나누는 이유?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다. 계층 하나 하나를 모듈식으로 따로 만들어서 조립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교환시 타사 제품의 부품으로도 교체할 수 있는데 이는 다 규격을 정의해 놓고, 각 부품별로 모듈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도 데이터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계층(모듈)을 나눈 것입니다. OSI 7계층 단계 물리(Physical) 계층 단지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공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한다. 전송 or 받으려는 ..
[컴퓨터 구조] CPU의 구조 및 작동 원리
CPU가 하는 일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인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실행한다. 연산 덧셈, 뺄셈, 곱셈 등의 산술 연산과 논리곱, 논리합, 부정 등의 논리 연산을 수행 제어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 저장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결과, 명령어 주소 등을 임시로 저장 CPU의 구조 레지스터(Register) CPU 내부에 있는 메모리 명령어 주소, 코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결과 등을 임시로 저장 고속 기억장치 다양한 종류가 있음(PC, IR, MBR 등) 제어 장치(Control Unit) 각 장치들의 동작을 결정하는 신호를 보낸다. 주기적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꺼내 해독하고, 그 결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