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할 일
강의 듣기1일 1 알고리즘 풀기- 과제 리뷰 반영하기(아직 리뷰가 달리지 않았다.)
팀 면담
TIL
1. DispatcherServlet
- Servlet 내부에 존재하는 메소드로 요청에 필요한 컨트롤러를 결정한다.
동작 순서
- DispatcherServlet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이를 요청할 핸들러 이름을 알기 위해 핸들러 맵핑에게 물어본다.
- 핸들러 맵핑은 요청 url을 보고 핸들러 이름을 디스패처 서블릿에게 알려준다. 이때, 핸들러를 실행하기 전/후에 처리할 것들을 인터셉터로 만든다.
- DispatcherServlet은 해당 핸들러에게 제어권을 넘겨주고, 이 핸들러는 응답에 필요한 서비스를 호출하고 렌더링해야 하는 뷰 이름을 판단해 디스패처 서블릿에게 전송한다.
- DispatcherServlet은 받은 뷰 이름을 뷰 리솔버에게 전달해 응답에 필요한 뷰를 만들라고 명령한다.
- 이때 해당하는 뷰는 DispatcherServlet에게 받은 모델과 컨트롤러를 활용해 원하는 응답을 생성해서 다시 보내준다.
- DispatcherServlet은 뷰로부터 받은 것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준다.
2. 리더님과 면담
Q. 주니어 면접을 보면서 인상 깊었던 경험이 있나요?
A. 알고리즘을 굉장히 잘 풀었는데, 실무 능력은 알고리즘에 비해 뛰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일정 수준의 코딩 테스트를 풀 능력과 원하는 직무에 관한 능력을 길러야 할 듯하다.
Q. 신입을 뽑을 때 가장 우선적으로 보는 능력이 있나요?
A. 대기업, 스타트업 등 어떤 회사에 지원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 스타트업은 지원자가 적어 당장 도와줄 수 있는 주니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CS보단 프로젝트를 많이 본다.
투자 스타트업은 코테나 CS로 걸러내고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와 대외활동을 추가적으로 본다.
결론은, 팀원들과 협업하며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등등
내일 할 일
- 강의 듣기
- 1일 1 알고리즘 풀기
- 과제 리뷰 반영하기
느낀 점
DispatcherServlet에 대한 개념과 더불어 스프링의 전체적인 흐름을 추가로 공부할 수 있었던 하루였다. 추가로, MVC패턴을 적용해 로컬에서 작동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었다. 코드 작성보단 out설정이 마음대로 되지 않아서 시간을 많이 소모했다. 개념은 힘들어도 페이지가 눈앞에 보이니 오랜만에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반응형
'데브 코스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DAY 39 (0) | 2021.09.19 |
---|---|
[TIL] DAY 38 (0) | 2021.09.19 |
[TIL] DAY 36 (0) | 2021.09.17 |
[TIL] DAY 34 & 35 (0) | 2021.09.07 |
[TIL] DAY 33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