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말 할 일
- 알고리즘 풀기
- 김영한 님 기초 강의 끝내기
- W3D4 강의 듣기
TIL
1. JPA
- 기초 강의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맛만 보았다.
- 반복 코드들과 기본 SQL을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 주는 것이다.
- 그래서 코드를 객체지향 중심으로 설계하는데 집중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높여준다.
2. 스프링 데이터 JPA
- JPA를 더욱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로 Repository에 인터페이스만 사용해 개발을 진행한다.
- 기본 CRUD 기능도 제공되기 때문에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데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다.
- 기본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동적으로 변하는 쿼리는 사용하기 어렵다.
3.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 공통 관심 사항과 핵심 관심 사항을 분리하는 것이다.
- 아직까지 정확히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굳이 필요한가?? 의 느낌이 처음에 들었다. 그 이유는 중복 로직을 메소드로 빼서 사용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핵심은 많은 곳에서 사용을 원하는 공통 관심사항을 직접 일일이 작성하게 되면 비즈니스 로직이 섞여서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수정할 때 모든 로직을 찾아가면서 변경하다 보니 번거롭다.
- 따로 분리함으로써 핵심 관심 사항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유지보수가 편해진다.
내일 할 일
- 알고리즘 풀기
- 과제하기
느낀 점
기초 강의를 끝내버렸다. 스프링의 전반적인 내용을 간단하게 다루어서 지금 교육에서 진행하는 강의가 왜 이렇게 진행되는지, 어떤 내용을 배우고 있던 것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생각보다 오래 걸렸지만 좋은 선택이었다. 이후에는 과제를 빨리 끝내고 다음 강의를 들어보고 싶다.
반응형
'데브 코스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DAY 32 (0) | 2021.09.07 |
---|---|
[TIL] DAY 29 & 30 & 31 (5) | 2021.09.04 |
[TIL] DAY 26 (0) | 2021.08.31 |
[TIL] DAY 25 (0) | 2021.08.27 |
[TIL] DAY 24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