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백준

[백준 1920] 수 찾기 (자바)

마데카솔라 2020. 12. 28. 00:09
반응형

백준 1920번 수 찾기 (자바)

 

 

 

출처

www.acmicpc.net/problem/1920

 

1920번: 수 찾기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

www.acmicpc.net

 

 

 

문제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 모든 정수의 범위는 -231 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

 

 

 

출력

  • 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 존재하면 1을,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접근 방법

처음 포스팅하는 이분탐색 문제다.

기초적인 이분탐색 문제로, 처음과 끝을 기준으로 중간값을 구한 후 target값을 찾을 때까지 범위를 줄여가며 중간값이 target 값과 같으면 반환한다.

 

1. Arrays.sort()를 사용해 배열을 정렬시킨다. (이분 탐색은 정렬이 돼있어야 가능한 알고리즘이기 때문)

 

2. mid번쨰 원소가 target보다 큰 경우 왼쪽 부분을 탐색하기 위해 end = mid-1이다.

 

3. mid번째 원소가 target보다 같거나 큰 경우 오른쪽 부분을 탐색하기 위해 start = mid+1이다.

 

4. mid번째 원소가 target과 같은 경우 mid를 반환한다.

 

5. start가 end보다 큰 경우는 해당 원소를 찾지 못한 것이므로 -1을 반환한다.

 

 

 

 

내 코드

 

 

 

고려할 점

1. 이진탐색의 개념을 파악할 것

2. start와 end를 활용하여 mid를 구할 것

3. 어떤 경우에 어떤 수를 반환해야 하는지 파악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