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568] 치즈 (자바)
백준 2568번 치즈 (자바)
출처
2638번: 치즈
첫째 줄에는 모눈종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N, M (5≤N, M≤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모눈종이 위의 격자에 치즈가 있는 부분은 1로 표시되고, 치즈가 없는 부분은 0으로 표
www.acmicpc.net
문제
N×M (5≤N, M≤100)의 모눈종이 위에 아주 얇은 치즈가 <그림 1>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단, N 은 세로 격자의 수이고, M 은 가로 격자의 수이다. 이 치즈는 냉동 보관을 해야만 하는데 실내온도에 내어놓으면 공기와 접촉하여 천천히 녹는다. 그런데 이러한 모눈종이 모양의 치즈에서 각 치즈 격자(작 은 정사각형 모양)의 4변 중에서 적어도 2변 이상이 실내온도의 공기와 접촉한 것은 정확히 한시간만에 녹아 없어져 버린다. 따라서 아래 <그림 1> 모양과 같은 치즈(회색으로 표시된 부분)라면 C로 표시된 모든 치즈 격자는 한 시간 후에 사라진다.
<그림 2>와 같이 치즈 내부에 있는 공간은 치즈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므 로 이 공간에 접촉한 치즈 격자는 녹지 않고 C로 표시된 치즈 격자만 사라진다. 그러나 한 시간 후, 이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그림 3>에서와 같이 C로 표시된 치즈 격자들이 사라지게 된다.
모눈종이의 맨 가장자리에는 치즈가 놓이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으로 주어진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모눈종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N, M (5≤N, M≤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모눈종이 위의 격자에 치즈가 있는 부분은 1로 표시되고, 치즈가 없는 부분은 0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0과 1은 하나의 공백으로 분리되어 있다.
출력
출력으로는 주어진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정수로 첫 줄에 출력한다.
입출력 예
접근 방법
내부 공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정말 오래 고민했다..
내가 생각한 방법은 처음에 배열에 값을 대입한 이후에, 0인 부분을 모두 -1로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외부공기는 -1, 내부 공기는 0, 치즈는 1로 설정하여 구분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외부를 모두 -1처리해도 문제가 풀리지 않았는데, 이유는 연산 후에 녹은 치즈 공간을 외부 공기처리를 해야 하는데 하지 않았다..
1. 녹을수 있는 치즈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while문을 돌려 한번 연산이 끝날 때마다 시간+1 해준다.
2. 연산이 시작할 때마다 치즈가 녹아 새로 생긴 공간을 외부 공기로 바꿔주기 위해 -1로 바꿔주는 메서드(setAir)를 실행한다.
3. 이후 치즈가 존재하면 외부 공기가 2개 이상인지 계산해(dfs) 2개 이상이면 다음 연산을 실행하고, 2개 이상이 아니면 녹을 치즈가 없으므로 연산을 끝낸다.
4. 초를 출력한다.
내 코드
package dfs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Cheeze {
/**
* 백준 2638 치즈 (https://www.acmicpc.net/problem/2638)
*/
private static int n,m; //세로, 가로
private static int[][] map;
private static boolean[][] visit;
private static int[] dx = {-1, 0, 1, 0};
private static int[] dy = {0, 1, 0,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냉동보관
//4변 중 2변 이상이 실내온도의 공기와 접촉하면 1시간만에 녹는다.
// -> 공기 2변 유무 파악
//치즈 내부의 공간은 외부의 공기가 아니다.
// -> 내부/외부 구분
//치즈 : 1, 외부 : -1, 내부 : 0
//dfs 실행해 외부변 개수 카운트한다
//가장자리는 항상 치즈가 없다.(1,1)
//녹을때마다 녹는곳 -1처리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reade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int[n+1][m+1];
visit = new boolean[n+1][m+1];
for (int i=1; i<=n; i++) {
st = new StringTokenizer(reader.readLine());
for (int j=1; j<=m;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int result = 0;
while (true) {
visit = new boolean[n+1][m+1];
boolean flag = false;
//치즈 외부 및 녹은곳 다 -1처리하기
setAir(1,1);
for (int i=1; i<=n; i++) {
for (int j=1; j<=m; j++) {
if (map[i][j] == 1) {
//치즈 존재할 때
if (dfs(i,j)) {
//외부 공기 2개 이상일 때
flag = true;
}
}
}
}
if (!flag) {
break;
}
result++;
}
System.out.println(result);
}
private static void setAir(int x, int y) {
//외부 및 녹은곳 -1처리
map[x][y] = -1;
visit[x][y] = true;
for (int i=0; i<dx.length;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 (nx < 1 || ny < 1 || nx > n || ny > m) {
continue;
}
if (!visit[nx][ny] && map[nx][ny] != 1) {
setAir(nx,ny);
}
}
}
private static boolean dfs(int x, int y) {
int cnt = 0;
for (int i=0; i<dx.length;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 (nx < 1 || ny < 1 || nx > n || ny > m) {
continue;
}
//인접변의 외부공기와 접촉 개수
if (map[nx][ny] == -1) {
cnt++;
}
}
if (cnt >= 2) {
//2개 이상일 때 녹는처리
map[x][y] = 0;
return true;
}
return false;
}
}
고려할 점
1. 치즈가 녹은 후 외부 공기 처리를 해줄 것
2. 외부 공기, 치즈, 내부 공기를 구분하여 계산할 것